생각기록

생활 코딩 WEB2 JavaScript 1 본문

강의 정리/생활 코딩 강의 정리

생활 코딩 WEB2 JavaScript 1

끼록관 2022. 11. 9. 14:40

웹화면, 우클릭 > 검사

 

Elements = 태그

input type = "button" value="night" onclick="

document.querySeletor('body').style.backgroundColor='black';

document.querySeletor('body').style.Color='white';

버튼 타입인

버튼이름값이 night

onclick이라는 속성의 값JavaScript가 와야한다.

 

사용자가 onclick속성이 위치한 버튼을 클릭했을 때,

이 js코드를 실행시킬 것

document.querySeletor('body').style.backgroundColor='black';

document. 해당 웹문서

('body') 바디태그 = 화면 전체

.style. 스타일 속성값으로

backgroundColor='black'; 배경색을 블랙으로 한다.

문법을 이해 x

한국말을 이해 o

 

style 속성값으로는 반드시 css가 온다.

 

1. 자바스크립트는 사용자와 상호작용 하는 언어이다.

2. 웹브라우저는 한번 화면에 출력되면, 바꿀 수 없다 = body태그는 언제나 body태그임

3. 자바스크립트가 html을 제어하는 언어이다. (동적으로)

 

 

자바스크립트 <script>태그 쓴다.

<body>
    <h1>html</h1>
    1+1
    <h1>JavaScript</h1>
</body>
    <script>
        document.write(1+1);
    </script>

js와 html

html은 정적이다 1+1을 그대로 출력

js는 동적이다 1+1 = 2로 출력

 

 

js의 이벤트

	<input type="button" value="hi" onclick="alert('hi')">
    	<input type="text" onchange="alert('changed')"><br>
    	<input type="text" onkeydown="alert('key down')">

위에서

onclick속성값으로는 반드시 js가 와야한다
event가 일어났을 때 어떠한 js가 실행되는 것이 onclick을 가진 요소
 
on으로 시작하는 속성들을 event라고 한다.
onchange-요소값 변경 후 요소가 포커스 잃으면 발생 
 
 
파일 없이, 코드를 실행해서 확인하는 법 : console 사용
우클릭 > 검사(개발자도구) > console 사용
 
계산기처럼
데이터 처리하기 위해 자주 쓴다.
 
여러글자가 몇개인지 알고 싶을 때

alert('https://www.youtube.com/watch?v=-VKIqaEdDVU&list=PLuHgQVnccGMBB348PWRN0fREzYcYgFybf&index=5'. length)

문자를 ' ' 로 묶어준다.

문자열의 문자의 갯수를 알려주는 명령어 > .length

91개 글자

tip.

1. elements 에서 esc누르면, console 창을 껏다 켜기 가능

2. 한번 실행했던 코드는 화살표 ↑키를 누르면  다시 화면에 나타난다.

3. 콘솔을 통해 js를 실행하면, 현재 보고있는 웹페이지를 통해 js 실행

 


데이터타입 - 문자열과 숫자

 

데이터타입 = 자료형

콘솔을 계산기처럼 사용할 떄

일일이 alert하는 것도 귀찮다.

1+1 = 2

2-1 = 1

2*4 = 8

6/2 = 3

연산자 + 는 좌항 우항을 더해서 하나의 값을 만든다 = 이항 연산자 = 산술 연산자

 

문자는 "hello warld" 'hello warld' 따옴표로 묶는다. 

 

String 검색, 모질라에서 운영하는 페이지 참고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Data_structures

 

JavaScript의 타입과 자료구조 - JavaScript | MDN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내장된 자료구조가 존재하지만 보통 그 내용은 언어마다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JavaScript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장 자료구조와 그 속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러

developer.mozilla.org

String-length 사용법등을 참고하면 된다.

 

console.log('alphabet'.toUpperCase()); // 'ALPHABET'

문자열을 쓰고 .toUpperCase()하면, 결과가 대문자 알파벳이 된다.

 

indexof우리가 찾으려는 값을 넣으라

 

.trim()

공백을 없애준다.

우리가 데이터 타입을 잘 구분해야 하는 이유

문자 '1'과 숫자 1은 다르다

 

Number

 


변수대입 연산자

 

x = 1 ;

 

x : 변수 variable 

= : 대입 연산자

1 : 값

 

대입연산자란?

오른쪽 항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대입한다 

좌항 우항을 결합해서 우항의 값을 만들어 낸다는 특징도 있다.

 

> x라는 변수는 대입연산자를 통해 언제든지 값이 바뀔 수 있다.

변수는 언제든지 변할 수 있는 수 = '변수'

1은 2가 될 수 없다.

항상 변하지 않는 수 = '항수' 

variable vs cons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