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기록
2022-11-12 서버 본문
네이버 클라우드 플래폼을 사용하여 서버를 만들어보자
서버 :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클라이언트(사용자)
서버(서비스컴퓨터)
우리가 페이지 접속햇을때
서버를 통해 뷰파일이 우리에게 보여지는 것이다.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람(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송을 해준다.
웹사이트의 데이터를 요청한다 > 서버 : 데이터를 찾아서 사이트로 보내준다 > 사이트의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
구축 방법
1. 본인의 컴퓨터를 직접 서버로 구축
- 로컬에 깔고, 계속 24시간 열어둬야함 > 쉽지 않다.
- 서버에 전문지식이 없으면 하면 안된다
- 해커 공격, 바이러스 침투 때문에 비추한다.
- 거희 하지 않는다.
2. 일정 요금을 내고 외부 서버를 임대해 사용하는 방법
서버 호스팅
- 서버 한대(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컴퓨터 한대)를 통째로 임대하는 방법
- 환경을 빌려와서 구축, 자체적으로 우리가 만들어야해서 기술벽이 높다
- 내맘대로 쓰는 게 가능해서 유동적인것은 가능하다
- 땅을 사서 단독주택
웹 호스팅
- 서버 한대의 일정 저장공간만을 임대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해당 서버를 공유하는 방법
- 서버 자체운영은 웹호스팅사에서 하고, 내가 할당받은 공간만 맘대로 쓸 수 있어 저렴하다.
- 일정 저장공간만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 하나의 아파트라고 생각
둘다 물리적인 컴퓨터를 빌리는 것이다.
서버호스팅, 웹 호스팅
우리는 둘다 안쓰고, 클라우드 서버라는 것을 이용해서 만들 것이다.
클라우드 서버
실제 물리적인 컴퓨터 한대로 서버를 운영하는 것이 아닌
VM(virtual Machine)가상 머신으로 서버를 운영하는 방식
프로그램으로 가상의 컴퓨터(서버)를 하나 생성해 이용하는 방법
장점
- 짧은 시간 안에 서버를 하나 뚝딱 만들 수 있다
- 저장공간 무한대 ( 물리적인 컴퓨터의 한계를 생각하면 )
- 제한이 없어, 접속량이 많아도 다운되지 않는 서버 구축 가능(이론상)
클라우드 모델 (클라우드 유형 세가지)
1. 퍼블릭 클라우드
소유는 공급자가 갖고있고, 누구나 접근할 수 있다.
aws가 소유하고 이 서비스를 사용하고 그만큼 돈을 지불하는 유형
2. 프라이빗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업내부에서 가상환경 셋팅하고
기업내에서만 접근할 수 있는 것
3.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둘다 사용이 가능한 결합된 형태
우리는 퍼블릭 클라우드 모델을 만들 것이다.
이런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급하는 곳이 많은데
amazon(aws)
- 전세계적으로 많이 쓴다.
- 본사가 미국에 있어서 대부분 영어임
- 그리고 비싸다.
naver cloud platform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아마존에 비해 싸고
- 국내 운영이여서 자료찾기 쉽다 (공식가이드 잘되어 있다)
- 무엇인가 안될때 문의가 쉽다.
- 신규 가입고객에게 10만원 상당의 크래딧을 3개월동안 제공하는 이점 >카드등록 필요(3개월뒤엔 해제)
- 다행이도 서버는 1년동안 무료임
- 초반에 이걸로 익숙해지고 aws로 옮겨가겠다.
https://www.ncloud.com/main/creditEvent
NAVER CLOUD PLATFORM
cloud computing services for corporations, IaaS, PaaS, SaaS, with Global region and Security Technology Certification
www.ncloud.com
많은 크래딧 서비스들을 3개월안에 써보는것을 추천한다.
실제로.. 300을.. 나오신... 선생님
aws는 1회만.. 봐준다......ㄷㄷ
네이버 클라우드 플래폼에서 서버 생성하기
포털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Console] 버튼을 클릭
플래폼 > classic 변경
콘솔 > 서비스 > 서버 생성 버튼 누르기
서버
서버 이미지 선택
- Micro로 선택
- 서버 이미지 이름 : ubuntu-16~ 다음 클릭
확인내용
서버 설정
- zone 선택 : 한국에 위치 시키겟다 kr-1,2 상관없음
- 스토리지 종류 : HDD (마이크로서버에서는 SSD 제공 X , SSD가 더 좋다)
- 서버 세대 안해도 됨
- 서버 타입 : Micro 는 하나만 만들 수 있다.
- 서버 이름 : 자기 마음대로
- 반납 보호 : 반납 보호 설정하면 실수로 반납하는 사고 방지 가능
인증키 : 서버관리자 권한(최고 권한) 잃어버리면, 반납하고 서버 다시 만들어야 함
파일로 주니까 잘 관리합시다!
ACG(방호벽) 생성
- 이름 설정
- 포트 설정
포트란?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할 때 IP를 토대로 해당 서버가 있는 컴퓨터에 접근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경우 하나의 컴퓨터에는 여러 개의 서버가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에 여러 개의 서버가 실행되고 있다면, 어느 서버에 접속해야 하는지 컴퓨터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포트 번호이다.
서버에서 포트란?
서버 컴퓨터로 들어오는 문, 통로와 같은 역할
ex) 서버컴퓨터의 집 주소 → ip
서버컴퓨터로 들어오는 문, 통로 → port
프로토콜별 포트 번호 정리
포트 번호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서버를 구분 짓기 위한 16비트의 논리적 할당으로 0~65536번이 존재한다. 이 중에 0~1023번까지는 이미 어떤 통신이 해당 포트를 사용할 것인지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http 통신은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ssh 통신은 22번 포트를 사용한다. 이렇게 정해져 있는 0~1023번까지의 포트를 well-known port라고 한다.

우리는 포트를 0.0.0.0/0 으로 80과 20을 설정할 것인데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80은
http:// 로 기본적으로 쓰이는 것이고, 웹페이지 전송 프로토콜이다.
22는
SSH : Secure Shell : 시큐어 셀 : 다른 사용자가 세션을 엿듣지 못하도록 세션을 감싸 보안 및 안정성을 높임.
서버 업로드, 다운, 수정 작업시 필요한 프로토콜
신규 acg생성 누르고
최종확인
서버 상태 : 생성중 이라고 뜬다
비공인ip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자체에서 접근 가능한 주소
공인 ip는 모두가 볼 수 있는 아이피 주소이다.
우리가 필요한 공인 ip가 비어져 있다.
외부 접속 주소는 공인 ip 만드는 법
퍼블릭 아이피 들어가서
공인 ip 신청 누르기
존과, 적용 서버 선택 ( 위에서 만든 서버 선택 )
생성되면~~!!
이 아이피를 이용해서 puTTY 사용
putty 깔기 (원격접속 지원 프로그램)
login as :
서버 접속시 이 것을 사용해서 접속한다.
사용자의 이름은 root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는 클라우드 플래폼 서버선택 >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설정된 비밀번호를 치는데
칠 때 암호가 안보인다.
주의하고, 마우스 우클릭 앤터 하면 붙여넣기가 된다.
비밀번호가 어려우니 바꿔보겟다
passwd 라고 치면 변경창이 나온다.
바꿀 비번을 2번 쳐주면 변경이 된다.
기억반드시 하시길 바란다.
연결상태 저장
외부 아이피 하고
save
1. host name - 공인 아이피 등록
2. saved sessions 에 해당 서버 이름을 넣고 save 하면!
매번 칠 필요 없이 공인 아이피가 등록된다
서버 접속 시간 변경하기 window
저장했던 서버를 불러오고
30초 정도 적어줍시다.
그리고 다시 Session으로 가서 save 버튼을 눌러줍니다.
filezilla 클라이언트로 다운받기
파일질라 - 사이트 관리자
이름을 설정하고
- 프로토콜 - sftp로 설정해주고
- 호스트 - 공인 아이피
- 포트 - 사용할 포트 번호
사용자
비밀번호 입력
왼쪽 상단에 세모를 누르면, 들어와 있는게 보인다.
우측에
이런식으로 들어와야한다.
왼쪽은 로컬 구조
오른쪽은 서버 구조
오른쪽거 함부로 지우면 서버구축부터 다시 해야할 수도 있다.
파일질라의 장점
이런식으로 로컬것을 업로드하거나
서버것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서 좋기때문에 파일질라를 사용할 것이다.
웹 서버(=컴퓨터)
http요청을 받을 수 있는 서버를 깔아야 한다.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주는 일 등을 함
우리는 APACHE를 사용할 것임
- 오픈소스라 무료가 가능하다
- 현재는 많이 쓰지 않는데, 지금 웹서버가 어찌 동작되는지 보기위해 설치해볼것
- 단점은 무겁다 (만들어진지 오래되서)
- 대형사이트 제작시 사용하지 않는다.
항상 서버에 뭐하기 전에 업데이트를 해야한다.
puTTY 에서 항상!!
1. # apt-get update
#은 리눅스, 서버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2. # apt-get install apache2
해당 프로그램 설치 하는 명령어
직접 깔지 않고 여기서 깔아보는 것
3. y 입력
y눌러 주기
확인하는 법
/var/www/html
넣어보기
공인 아이피 들어가면
제대로 되고있는것!
index.html을 서버에서 다운받고, 로컬에서 열어본다.
여기서 index.html 은 기본적으로 읽는 파일이다
오른쪽 서버에서 우클릭 다운로드
하면 로컬 왼쪽에 해당파일이 있다.
이 파일을 키면
공인 아이피가 아까처럼 똑같이 인식된다.
이제 우리가 원하는대로 바꿔보자
서버에서 받은 파일을 수정 저장하는 법
파일 업로드 하면 대상 파일이 이미 존재한다고 뜬다.
index.html 덮어씌우면,
위에서 말했다 싶이 이 파일을 기본으로 인식해서 읽는다.
이런식으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미지 파일 업로드해서 확인해보기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웹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하다
해당 아이피 /파일명.확장자명
아이피/1.jpg
아이피/폴더명/파일명.확장자명
폴더가 있을때는
아이피/a/1.jpg
실습2 서버에 이미지 가져오고, 선생님에게 편지써보기
- 해당 파일에 png 파일을 넣고, index.html파일을 덮어 씌운다
- 기본적으로 index.html을 읽기때문에
- 서버에 해당 파일이 있는 위치 까지만 찍어줘도 이렇게 나온다!
공인 아이피 / a(폴더) /
아이피는
인터넷 프로토콜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약(약속)
통신은 데이터를 보내는곳과
받는 곳이 있다.
받는 곳을 어느 중학교 옆
어떤사람은 도로명 주소로 이야기하면,
즉 규칙이 없으면 통신을 할 수 없다.
출발지와 도착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 아이피 주소 입니다.
아이피 주소 확인 방법
1. 터미널 (CMD)키고
ipconfig 입력
32자리 2진수로 표시됨
. 은 옥텟이란 단어로 부른다.
2.기억하기 힘들면, 네이버에서 '내 ip 확인' 검색
아이피 종류
공인ip
- 외부에 공개되어있어서 외부에서 접속하는 아이피
- 서버 구축을 사용하고 우리가 서버에서 사용하는 것도 고인 ip
사설ip
- 로컬 ip, 가상 ip라고 불리며 외부 접근이 불가능한 ip
- IPv4 체계의 ip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유동ip
- 기기에서 고정적으로 ip를 부여하지 않고
- 기기를 갱신주기나 껏다킬 때 남아있는 아이피를 골라 할당해줌
- ex)와이파이 공유기
고정ip
- 사용자가 직접 ip주소를 입력해 주소를 설정하는 방식
- ip를 한 번 부여 받으면 반납 전까지 해당 ip를 할당 받는다.
- ex)네이버 클라우드 플래폼에서 공인아이디를 받은 것! (우리는 아이디를 구매한 기간 동안 우리만 사용이 가능하다.)
도메인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주소
아이피를 통해 접속하는 주소는 별로없다.
도메인과 아이피주소를 연동해서 쓰는 것
한눈에 파악하기 힘든 ip 주소를 보다 분명하게 나타내기 위한 사용
예) 카페24, 호스팅kr 등등이 있다.
DNS
도메인 네임 서버 시스템
도메인 = 아이피 연결
도메인으로 접속햇을때 DNS에서 매칭되는 도메인을 찾고 결과에대한 IP를 보여주는 것
= 연결 시켜주는 친구 ( 공인 아이피든 도메인이든 입력하면 같은 페이지 나옴 )
'SeSAC 풀스택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1-22 Express, ejs 수업 (0) | 2022.11.23 |
---|---|
2022_11_19_프로미스 (0) | 2022.11.19 |
callback (0) | 2022.11.17 |
2022-11-17 node.js 모듈, 구조 분해 할당, callback (0) | 2022.11.17 |
노드.js (0)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