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기록

HTML 본문

SeSAC 풀스택/HTML

HTML

끼록관 2022. 10. 31. 23:49

영어로 구분하자면,

  명사(HTML) 형용사(CSS) 동사(JS)     귀여운(css) 고양이(html)가 춤추고 있다(js)

웹문서 : 우리가 화면에서 보고있는 인터넷 화면, 즉,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문서

웹브라우저 : 웹문서는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통해서 볼 수 있다.

                      예)인터넷 익스플로어, 크롬

 
확장자 : 웹문서의 확장자는 html이다.
 
               예) 그림 파일의 확장자는 jpg, png등이 있다.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가장 기초적인 언어

Hypertext 

: 웹 상의 다른 문서나 멀티미디어 등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는 텍스트.

  즉 링크를 의미

 

Markup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다.

 구조 파악 좋음

 예) 과정명: 풀스택 교육시간: 6개월

 

태그

  • < > 로 감싸진 얘들
  • 시작태그, 종료태그가 세트 <html> </html>
  • 안닫아도 동작하는 얘들이 존재
  • 태그는 특정한 기능(역할)을 지녔다
  • 태그를 쓸 때, 대소문자 구분 X (html표준은 소문자 권장)
 

html의 전체 구조

<html>태그는 웹문서의 시작과 끝을 알림

<head>태그는 웹문서의 각종 정보를 기록 (눈에 보이지 않는 메타 정보)

  • title태그 : 문서(페이지)의 제목
  • meta태그 : <meta charset="UTF-8"> 한글이 안나오는 문제 발생시 써주기

<body>태그는 웹문서의 실제 내용=컨텐츠들을 기록 (페이지 출력)

기본 구조
<!DOCTYPE html>                                                        //Document Tyoe Declearation의 약자 어떠한 약속, 어떠한 표준을 따르고 있는 태그인지 알려주는 것
 
  <html lang="ko">                                                      // lang 사용할 곳을 안내 ko(한국)
   <head>
    <title> 문서 제목(이름) </title>


    <meta charset="UTF-8">                                     // 한글이 깨질 때, 인코딩이 안되서 그럴 때 씀
  </head>
  <body>


  </body>
</html>


head, body는 무조건 한 개만 존재하는 태그
 

 

부모, 자식 태그란?

HTML의 자식 태그 개수는? 3 X / 2개 이다

<title> <head>의 자식으로

<html> 자식 태그(head태그)의 자식 태그 이다.

<head><body>태그는 형제 태그 라고 한다.

 

  • 같은 태그 안 : 형제
  • 안의 태그 : 자식
  • 밖의 태그 : 부모

*추가로 부모 태그 = parent, 자식 태그 = child, children, 형제 태그 = sibling

 

이런 구조들은

페이지 우클릭  >  검사(f12) (페이지 구성 코드를 볼 수 있다.)


HTML 구성요소  3가지

빈 요소 ( Empty Element )

내용 없이 구조적인 기능만 하는 요소 (닫지 않아도 동작이 가능)

예) <br> 줄 바꿈 태그

      <hr> 구분선

 

레이아웃의 핵심,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지닌다.

블록 요소 ( Block Element )

- 부모 요소의 전체  너비 100% 차지 (박스), 가로 세로 크기 지정 가능

- 개행(줄바꿈)이 일어난다.

- 모든 온라인 요소를 포함하거나 다른 블록 요소를 포함한다.

예) <h1> 글씨 크기 1-6

      <div> 묶음

       <p>  paragraph 하나의 문단으로 취급,  위 아래에 약간의 여백이 추가 된다.

 

인라인 요소 ( Inline Element )

필요한 공간만 차지하는 친구(글자) , 글자만큼 공간값 가짐

기본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정렬

너비와 높이를 지정할 수 없다.

블록 요소 안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인라인 요소만 가질 수 있다.

(인라인 요소안에는 블록이 들어갈 수 없다) > div안의 span은 가능하지만, span안의 div는 불가능 하다는 의미

예) <span> , <a>, <strong>  줄바꿈 X, 가로로 한 줄에 나타내고 싶은 요소

 


태그의 속성 attribute  :  태그를 보조하는 명령어로 태그 안쪽에서 작동

  • 태그마다 사용 가능한 속성이 정해져 있음
  • 속성은 세부 설정, 속성값을 가진다.

   <태그 속성=" 값 " ></태그>

      예) <img src=“1.jpg” target="_blank"></a>

            img 태그는 target속성을 가지고, 속성값으로 "_blank"를 지님

 


보통 색상은 부모의 영향을 받는다.

but 본인에게 지정이 되어있다면, 본인 지정이 우선시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