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기록

2023-02-09 / AWS / 서버 만들기 데이터 베이스 만들기 본문

SeSAC 풀스택/기타

2023-02-09 / AWS / 서버 만들기 데이터 베이스 만들기

끼록관 2023. 2. 9. 19:27

https://aws.amazon.com/ko/free/?trk=fa2d6ba3-df80-4d24-a453-bf30ad163af9&sc_channel=ps&s_kwcid=AL!4422!3!563761819834!e!!g!!aws&ef_id=CjwKCAiArY2fBhB9EiwAWqHK6o_irHGYVggVTPzefNISqONMW8_EWyiU1JyPlqwewcO3c_LMb7KFOxoCvnYQAvD_BwE:G:s&s_kwcid=AL!4422!3!563761819834!e!!g!!aws&all-free-tier.sort-by=item.additionalFields.SortRank&all-free-tier.sort-order=asc&awsf.Free%20Tier%20Types=*all&awsf.Free%20Tier%20Categories=*all 

 

무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AWS 프리 티어

Q: AWS 프리 티어란 무엇입니까? AWS 프리 티어는 고객에게 서비스별로 지정된 한도 내에서 무료로 AWS 서비스를 살펴보고 사용해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프리 티어는 12개월 프리 티어, 상

aws.amazon.com

 

 

이씨투 > 서버

NCP 서버처럼 AWS 에서 컴터 임대해서 쓰는 것 대표적이다.

일년 무료!

 

 

알디에스도 무료!

스토리지도 무료!

 

돈을 내는지... 알아보고 쓰세요잉

 

AWS 

EC2

피시방에서 요금내고 쓰는것과 같다

컴퓨터 대여!

 

아마존으 이씨투는 유동적인게 장점 / 서버도 빠르게 구축 가능

전세계적으로 쓰다보니.. 안정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EC2 를 만들떄 어디에 위치 시킬지를 설정해야한다

EX. 한국, 미국, 일본 // 여러군데 위치 시킬수록 금액은 부가됩니다.

사용한만큼 지불하는것~

 

만들때

TYPE 설정

인스턴스 유형

인스턴스는 컴퓨터 한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각각의 유형마다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만들 수 있다.

 

 

EC2 생성

 

1. 계정 만들기

 

 

 

주의 할 점은 리전 : 지역을 대한민국으로 설정하고서 만들어야 합니다.

2. EC2 에서 인스턴스 만들기

만든 공인 아이피 복사합시다

 

window 서버 접속

이거 킨다

저장한 pem 파일 볼러오기

 

 

 

window 서버 접속

putty 어플 접속해서

ip: 방금만든 ec2의 아이피

이름 적고

save 넣기

 

나좀 바보같은게...

pem 파일을 넣고,

ppk 확장자 파일을 만들어서

저장하는것임 ㅠ..

 

 

로드한 상태로

Auth 설정

설정확인은 푸티 끄고, 로드한 서버에 파일이 있는지 보면 된다.

ppk 파일 선택

 

 

이제 putty로 가서

Ubuntu 18.04 에서 mysql 8.0 설치

ubuntu 입력 후

mysql 설치

wget https://dev.mysql.com/get/mysql-apt-config_0.8.24-1_all.deb
sudo dpkg -i mysql-apt-config_0.8.24-1_all.deb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mysql --version  // 버전확인

 

우분투 로그인이라서 sudo 추가 입력해야하는 것

sudo mysql -u root -p

 

비밀번호 입력 

로그인 햇다


이 방법은 다른 클라우드에 정보가 있다면 새로 만들기 귀찮을때 가져오는 것

나 같은 경우 ncp 를 썻기때문에, ncp 서버에 있는 db를 가져와 보겟습니다.

 

ncp 클라우드 서버 접속

푸티 열고

새로 열어보자잉

 

데이터베이스가 뭐가 있는지 확인을 잠깐 mysql로 접속해서 쇼우 데이터베이스 한것

 

 

덤프를 뜬다

있는 데이터를 mysql에서 확인해보고

mysqldump -u root -p '데이터베이스명' >  파일이름.sql 

파일이름은 내가 원하는 이름으로!

 

확인하러 가면

파일질라

이 파일이 생기네요

이 파일을 다운받읍시다 로컬에

마이스퀘어 덤프는

특정 데이터베이스를 sql 파일로 가져오는 것입니다

 

 

 

 

 

이것을 이제 aws로 적용해볼까요?

파일질라에서

사이트관리자 키고 새로 aws 만들어준다

프로토콜 설정 ssh로 하고

호스트 공인 아이피

 

로그인 유형 키파일

키파일은 아까 kkp 파일 넣어준다 확인

나오면 됩니다!

 

여기에 이제 그파일을 업로드

 

 

putty 켜서 아마존 접속

sudo mysql -u root -p 접속 후

mysql > create database test;

exit

 

test라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나옵니다.

mysql 나온 후

sudo mysql -u root -p test < /home/ubuntu/파일명.sql

sudo mysql -u root -p test < /home/ubuntu/kushk.sql

 

test 라는 데이터베이스 <  이 파일명을 넣겟다는 의미

이 파일명의 테이블들의 정보가 들어갈 겁니다.

비밀번호 입력후

 

이제 다시 확인하기 위해 mysql 접속

sudo mysql -u root -p 접속 후

use test;

show tables;

kushk의 테이블들이 출력 된다!

 

오 신기해................................

 

 

포트 여는 법

보안 그룹 페이지 들어가서 수정

편집 누른다.


 

이제 nginx인가? 저번에 배웟던거... 그대로 여기에다가 적용하면 된다 ㅠ.ㅠ....

 


RDS

EC2 서버에 mysql ,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할 수 도있지만,

RDS 서비스를 사용하기도 가능합니다. => (외부에 데이터 베이스가 따로 존재 / 외부의 AWS가 관리 해줍니다. / 개발만 하면 되어서 알아서 관리자 측에서 해줍니다.)

 

편한만큼!! 비쌉니다.... ^^ 선생님 250 떳다 ㅋㅋ

조심하지 않을거면 만들지마라~~

 

종류가 많다

RDS 종류

우리가 서버만들때 우분투 선택한것처럼

RDS 만들때 선택이 가능합니다.

 

관리 할 필요가 없고 

확장성 > 용량 같은거 즉각적으로 규모 조정 가능

가용성 및 내구성 / 스냅샷이란 것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 백업가능 (저장해두고 사용이 가능하게)

살다보면 데이터를.. 날릴수도 있기때문에 좋다.

 

RDS 생성.. PPT ㅋㅋ


S3

심플 스토리지 서비스

실제로 용량의 한계가 없다.

그러다보니 저장한만큼 비용이 부과된다.

(파일에 얼마나 많이 접근하느냐 사용량을 계산)

인터페이스가 매우 편리 / 파일탐색기 처럼 생겨서 폴더 찾기가 매우 편하다

 

특징

버킷이라는 것을 이용해 만드는데

특정한 폴더안에 파일이 있는것같지만, 파일구조가 KEY 이름입니다.

UI만 폴더임

폴더처럼 보이지만, KEY 형태로 존재 하는 것

실제로는 IMG ~ 파일인데... 슬래시 기준으로 폴더처럼 보여준다.

 

S3는 한공간에 모든게 다 있다.(우리눈에 보기 편하기위해 폴더처럼 보이게 한 것)

 

오브젝트 저장소라고 했는데

객체형태로 저장된다.

파일과 메타데이터 형태로 이루어져있다.

최대 5테라까지 한파일을 올릴수있다고 한다.

 

글래셔라는 것도 있는데..

우린 안쓰겟지 ...라고 함..

 

이 S3 에 얼마나 접근하냐에 따라서 유형이 나뉜다...

 

 

 

 

https://uncovered-nutmeg-b8e.notion.site/19-13-React-ee3d47ee2e924232bafbf47a4beb7d46

 

 

 


ubuntu@ip-172-31-13-24:~$ ln -s /etc/nginx/sites-available/PROJECT_KUSHK.conf /etc/nginx/sites-enabled/PROJECT_KUSHK.conf
ln: failed to create symbolic link '/etc/nginx/sites-enabled/PROJECT_KUSHK.conf': Permission denied

'SeSAC 풀스택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s란  (0) 2023.03.20
http / https 차이  (0) 2023.03.14
2023-02-09 / socket 수업 2일  (0) 2023.02.09
2023-02-07 Soket 수업  (0) 2023.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