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12)
생각기록
노드js로 웹서버 만들기 서버 구축, 웹프론트엔드랑 연결해서 데이터 주고받기가 목표 패키지 매니저 npm Node Package Manager ( https://www.npmjs.com/ ) 노드 패키지를 관리해주는 틀 *패키지 : 노드 모듈 - 패키지들 간 의존 관계가 존재 Express 웹 서버를 생성하는 것과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는 프레임워크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각종 메소드와 미들웨어 등이 내장되어 있다. http 모듈 이용시 코드의 가독성↓ 확장성 ↓ →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Express 프레임워크 npm 환경설정 해당 파일 있는 폴더 cd로 들어가기 1. npm init enter 연타! (default 값)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 package.jso..
동기와 비동기 동기는 순차적이라면, 비동기는 병렬적 서버와 웹브라우저의 통신은 예측하기 힘들다. 프로미스(Promise) 는 비동기를 간편히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오브젝트 콜벡으로 인한 복잡도 증가와 예외처리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짐 비동기 작업에서 성공과 실패를 분리해 메소드를 수행 resolve(value):일이 성공적으로 끝난 경우 -> 프로미스를 실행한 곳의 then으로 들어간다. reject(error):일이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 에러 발생 시 ,> 프로미스를 실행한 곳의 catch로 들어간다. // new Promise ( function ( resolve, reject ){ }); //함수의 return은 값을 받을 수 있다. function func1( ){ return new ..
정의: 함수에 파라미터로 들어가는 함수/ 함수가 끝난 뒤 실행되는 함수 용도: 순차적으로 실행하고 싶을 때 씀 ( 동기 처리 ) callback 함수 예문console.log('1'); setTimeout ( function () { console.log('2'); }, 1000); console.log('3'); 동기 얘들이 먼저 순차적 실행 되고, 1, 3 1초 경과후 이 함수를 실행해주세요 > 2 setTimeout()메서드는 타이머가 만료되면 함수 또는 지정된 코드 조각을 실행하는 타이머를 설정 비동기인 이 함수는 웹브라우저에서 1초 지나고 난 뒤 실행 한다. 바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setTimeout라는 함수 안에 하나의 파라미터 인자로 지정한 함수를 전달한다. 니가 1초 뒤에 다시 불러줘..
모듈(Module) 관련된 객체들의 집합소 특정한 기능을 하는 함수나 변수들을 집합 재사용 가능한 코드 조각 장점 코드 추상화G 코드 캡슐화(반복적 x, 묶어서 사용) 코드 재사용 의존성 관리 ex)변수 master 명칭을 여기저기서 쓰고있다. 관리자를 이름 바꾸고 싶을때, 마스터를 전체 검색해서 하나 하나 지워야하는데, 어느 한곳에 관리자는 마스터 라고 해놓고 호출해서 썼다면, 그곳에서 바꾸면되기때문에 독립적이고 유지보수하기 좋다. 모듈 만드는 방법 모듈화 module.exports는 메소드를 붙여 사용한다 함수 직접 만든 객체 module.exports는 1개의 값만 할당 할 수 있다. 그래서 객체를 사용하여 복수의 기능을 하나로 묶어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모듈화 하겠다 = 다른 파일 (밖)에서..
클라이언트 서버를 같이 한다. node.js 구글에서 개발한 javascript 런타임 얘는 언어는 아니다. 가볍고 효율적이다. npm 패키지는 세계에서 가장 큰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 *서버를 만들거나 파일을 관리하거나 할때 npm패키지 사용할 것임 런타임이란? 프로그래밍 언어가 구동되는 환경 javascript 의 런타임 환경은 웹 브라우저만 존재 했었음 이제는 서버단 언어로 사용하기 위해 나온것이 node.js 웹 브라우저 없이 실행 가능 (문서객체 사용못함) 특징 자바스크립트 언어 사용 Single Thread (싱글 스레드) = 하나의 작업밖에 못한다. node.js는 예외(에러)를 처리하지 못하면 프로그램이 아예 중단(죽음)됨 하나가 죽으면 전체가 죽게된다. 예외처리의 중요성! *싱글 스레드는 ..
개발 문화 개발팀에는 어떤식으로 개발해야하고 수평, 수직적인 등등의 문화가 있다. 좋은 개발 문화는 따로 없다. 개인에게 맞으면 좋다. 정해진 것은 없다. 나에게 맞는것을 찾기위해 노력해봅시다. AGILE ( 애 자 일 ) 을 알려면, WATERFALL MODEL(폭포수 모델) 을 알아야 한다. WATERFALL MODEL(폭포수 모델) 가장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 기법 고전적인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병행 수행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수행 단점 : 한 단계씩 내려가기 때문에, 오류가 생길 시 하나씩 올라가야하는 큰 단점 장점 단순한 모델이라 이해가 쉬움 단계별로 정형화된 접근이 가능해 문서화가 가능하다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한눈에 명확하게 파악 가능하다. 단점 변경을 수용하기 어렵다 시스템의 동작을 후반에 ..
디자인에 최적화 된 새로운 언어를 추가 하는 것과 html 안에 이미 디자인과 관련된 새로운 태그를 추가하는 것 중 무엇이 더 쉬울까요? html에 태그를 추가하는것이 쉽지만, 한계를 느껴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디자인에 최적화 된 새로운 언어가 CSS입니다. CSS 1. 태그 안에 있는 얘들을 읽는다. 2. 그 외에는 body 태그의 해당 태그에 style=" " 속성을 준다. (해당 속성 값으로 css 문법에 따라 읽어 준다.) 항상 ; 을 해줄 것 (하나의 효과마다) text-decoration : none ; 밑줄 같은 애들이 사라진다. text-decoration:underLine ; 밑줄 생긴다. 기본 문법 selector(선택자) > a Declasration(선언,효과) > { } Pro..
네이버 클라우드 플래폼을 사용하여 서버를 만들어보자 서버 :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클라이언트(사용자) 서버(서비스컴퓨터) 우리가 페이지 접속햇을때 서버를 통해 뷰파일이 우리에게 보여지는 것이다.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람(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송을 해준다. 웹사이트의 데이터를 요청한다 > 서버 : 데이터를 찾아서 사이트로 보내준다 > 사이트의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 구축 방법 1. 본인의 컴퓨터를 직접 서버로 구축 로컬에 깔고, 계속 24시간 열어둬야함 > 쉽지 않다. 서버에 전문지식이 없으면 하면 안된다 해커 공격, 바이러스 침투 때문에 비추한다. 거희 하지 않는다. 2. 일정 요금을 내고 외부 서버를 임대해 사용하는 방법 서버 호스팅 서버 한대(물리적으로 존재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