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12)
생각기록
DB 구조 supplies 테이블의 likeCount는 모두의 찜 갯수 ( 거기에 유저아이디의 찜 +1 , -1 ) pick 찜 테이블 유저 아이디 / supplies의 pk 값을 가지고 있다. 순서 1. 찜 버튼을 누르면, 로그인이 되어있지 않으면 알림창으로 로그인을 하라고 한다. 2. 로그인이 되어있으면, likeState의 여부에 따라 바뀐다. 판매페이지에서 조인문으로 가져온 pick / supplies db 데이터를 { list } 로 받고 있다. list.picks 모든 사람의 찜 데이터 값에 필터 를 걸었다 data.userId === isLoggedIn 좋아요 글의 유저 아이디와 로그인한 유저 아이디가 일치하는값 datas에는 내가 좋아요 한 찜 데이터들만 온다. 그 값이 존재하면, setL..
const result = await pet.findOne({ where: { id: req.query.id }, raw: true }); datavalues 값만 나와요! 이거 꿀팁 findAll이나 findOne할 때 콘솔에 보기 좋게 뜨게 하고 싶으면 이렇게 해도 좋을 것 같아요! 라는 팁을 받음...!!
Your local changes to the following files would be overwritten by checkout 라는 오류가 떠서 JMK@DESKTOP-SRR4HMV MINGW64 ~/Desktop/용산 2차 반달이/bandari (20230219_) $ git checkout develop error: Your local changes to the following files would be overwritten by checkout: client/src/components/Card.js client/src/components/EditUserInfoModal.js client/src/components/SellCategory.js client/src/routes/SellPage.j..
https://aws.amazon.com/ko/free/?trk=fa2d6ba3-df80-4d24-a453-bf30ad163af9&sc_channel=ps&s_kwcid=AL!4422!3!563761819834!e!!g!!aws&ef_id=CjwKCAiArY2fBhB9EiwAWqHK6o_irHGYVggVTPzefNISqONMW8_EWyiU1JyPlqwewcO3c_LMb7KFOxoCvnYQAvD_BwE:G:s&s_kwcid=AL!4422!3!563761819834!e!!g!!aws&all-free-tier.sort-by=item.additionalFields.SortRank&all-free-tier.sort-order=asc&awsf.Free%20Tier%20Types=*all&awsf.Free%20Tie..
전시간 복습 이걸로 서버 클라이언트와 소통 채팅방에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메세지 전송하는 것은 io.emit 통신중인 클라이언트 한명에게만 보내는것은 socket.emit 둘다 socket.on으로 받는건 같습니다. 디엠 보내는 법 io.to(소켓 아이디).emit() 누가 있는지 접속 사람들 목록 부르기
1. 스토어 생성 (리듀서 만들어서 인자에 넣는다.) 2. 리듀서 생성 (현재state, action 인자) - state값을 쓸때 전개연산자로 복사해서 씁니다. 3. Provider stroe={store} 스토어의 울타리 처리 해주기 -상태를 쓸곳만 4. 스토어의 무선 연결기능 useSelector (스토어 상태값을 콕집어서 쓴다) - state.number 라는 값을 쓰겟다라는 뜻 5. Dispatch 액션 만들기 ( 상태를 어떤 기능을 취할 것인가? ) - dispatch 함수 인자에 action을 담아서 리듀서를 호출하게 한다. 6. reducer 함수의 두번째 인자의 action 설정 - if ( action.type 은 어떤 액션 ) 이라면, { state값을 어찌하겟다 } 그값을 retur..
프로세스가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내거나 데이터를 받기 위한 서버랑 클라이언트랑 통신할때 소캣이란 곳(파일)에서 데이터를 다른 소캣으로 보내면서 통신이 이루어진다 서버랑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연결 역할에 따라 서버소캣 클라이언트 소캣이라고 불림 둘이 어찌 통신하는지 보자 클라이언트는 연결 요청하는 부분이고 요청을 받는게 서버 소캣이라고 한다 한서버에 여러개의 클라이언트 소캣이 접속할 수 있다 그 소캣을 어케 구분하냐 소켓은 프로토콜, 아이피주소, 포트 넘버로 정의된다 프로토콜은 통신 규약이라고 한다 http도 거기에 포함 통신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규칙 소켓 흐름 소켓을 생성하고 서버가 연결요청을 받으면 read write 요청을 바인드에서 바인딩? 리슨 클라이언트가 서버아이피와 포트번호로 연..
2023-02-06 코딩애플 리엑트 강의 개발환경 셋팅 node.js 설치 vscode 에디터 프로젝트 생성 1.작업용 폴더 생성, 우클릭 터미널 열기 2. npx create-react-app 프로젝트 명 state를 쓰는 이유 Destructuring 문법 let num = [1, 2]; let a = num[0]; //1 let c = num[1]; //2 let [a, c] = [1, 2]; 왜 변수로 안하고 state로 하나요? 만약 변수가 변경되면, 변경이 자동으로 html에 반영이 되지 않는다. 리엑트는 state의 값이 변경되면, 자동으로 재랜더링 반영된다. > 자주 변경될 부분을 쓰면 된다. array / object 는 원본을 보존해 복사하는게 좋다 let copy = 글제목; copy..